IMHR6 [리뷰] 스타트업 채용, 학벌과 스펙보다 '이것'이 중요합니다. 지난 3월 9일, 재단법인 ‘교육의봄’에서 스타트업 채용에 관한 포럼이 열렸습니다. 이 포럼은 ‘대한민국 기업 채용, 그 현황을 파악한다.’라는 주제로 열린 2차 포럼으로, 스타트업 채용 환경과 실제 기업의 채용 사례를 통해 스타트업 채용 현황을 파악하고 대한민국 기업 채용의 일면을 이해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였습니다. 이 포럼의 첫 번째 발제 내용으로, 스타트업의 채용 현황과 특징에 관해 IMHR의 김성민 대표의 발표가 있었는데요. IMHR 외에도 ▲약 2,400만 명의 회원(카페+앱)을 토대로 자원의 선순환을 추구하는 ‘중고나라’의 김윤호 실장, ▲‘카카오,’ ‘구글’ 등과 파트너쉽을 맺고 챗봇을 개발하는 ‘꿈많은청년들’의 정민석 이사, 그리고 ▲ 유튜브 세계 최고 뷰수(81억뷰)를 가진 ‘아기상어댄스.. 2021. 3. 28. 좋은 HR은 공유하는 것, IMHR 웹사이트 활용법 IMHR의 새로운 슬로건 ‘기업의 성장을 HR로 만드세요’에 맞춰 웹사이트를 새로 단장했습니다. 콘텐츠를 새로 만들 때마다 조금씩 바뀌어왔지만, 이번에는 어떤 콘텐츠가 어떻게 바뀌었는지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동시에 IMHR의 디자인을 맡고 있는 제가 처음으로 쓰는 글이기도 하네요. :) HR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공유할 것 IMHR의 정체성을 담을 것 웹사이트 기획 회의를 하면서부터 2가지를 목표로 고민을 했습니다. HR 그 자체, 콘텐츠를 만들고 공유하는 것이 우리의 ‘업’이기 때문에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보여주면서, 동시에 IMHR이 만든 콘텐츠가 가진 명확한 방향성이 잘 드러나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 고민은 IMHR이 시작할 때부터 해왔던 것이지만 (앞으로도 계속 할 것이고요) 이번에는 보다 정돈된 .. 2020. 11. 24. 새로운 슬로건을 선보입니다. '기업의 성장을 HR로 만드세요' 기업의 성장을 HR로 만드세요. IMHR이 새로운 슬로건을 선보입니다. 새로운 슬로건이 필요한 이유는 이랬습니다. 서비스를 처음 런칭하면서 지금까지 콘텐츠를 만드는데 주력했다면, 이제는 IMHR을 제대로 보여주자! 였는데요. 먼저, 그동안 쌓아온 해왔던 일을 생각해봤습니다. HR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 HR 기업 : 컨설턴트와 실무자, 노무사로서의 커리어를 토대로 전문가 이미지 구축 진짜 HR 콘텐츠를 잘 만드는 기업 : 다양한 주제의 HR 프랙티스와 가이드북, 한줄 자문과 인사이트를 담은 콘텐츠 생산 고객(회원사)이 잘되는 것이 우리가 잘되는 것이다. 라는 단순하고 명확한 목표로부터 두번째로, 우리가 고객을 위해 존재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에 대해 스스로 질문해보았습니다. ‘고객(회원사)이 잘되는 것이 .. 2020. 11. 18. HR 자문은 우리 회사에 필요한가요? 스타트업 실무자의 고민 약간 규모 있는 회사에서 3년 정도 HR 및 관리 경험이 있는 상태에서 스타트업에 입사했습니다. 아는 것은 아는대로 모르는 것은 찾고 묻고 어찌어찌하여 회사의 기본적인 HR 틀을 만들었습니다. 회사는 잘 성장하고 있습니다. 20, 30, 50, 80… 직원 수가 급증하고 채용이 일상 업무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인사관리의 벽이 느껴집니다. 예전에 만들어 놓은 인사제도들이 삐걱거리기 시작합니다. 현재 인사제도들을 보다 중장기적으로 잘 만들어 놓았다면 괜찮을 텐데… 이젠 우리 조직에 무엇이 필요하고, 어떻게 HR의 변화를 설정해야 할지 막막합니다. 최근 유행하는 OKR이나 애자일을 따라가야 하는 건지, 그것이 우리 조직에 맞기는 한 것인지, 법적으로는 괜찮은 것인지… 답답한 마음에 모임.. 2020. 10. 11. 뉴 노멀 시대의 인사 컨설팅 ‘New normal’이란 단어는 원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새로운 경제적, 사회적 변화를 일컫는 용어로 쓰였으나, 2020년 코로나 팬데믹 이후 새롭게 정의되고 있습니다. 코로나 이후 사람들의 행동 패턴이 대면 접촉을 최소화하고, 사회적 거리를 두는 방식으로 변화된 세상을 말합니다. 일의 관점에서 ‘뉴 노멀’은 어떤 변화를 의미할까요? 근무장소의 Normal이 사무실 근무에서 재택 또는 원격 근무로 변화되는 것을 말합니다. 지금까지는 ‘일을 한다’라고 하면 사무실에 출근하여 동료들과 회의하고 커피 타임을 갖는 등 그런 종류의 장면을 떠올린다면, 앞으로는 랩탑을 열고 집이나 카페에서 화상 회의와 채팅으로 업무 하는 것이 기본이 되는 것입니다. 또한 지금까지는 조직적이고 표준화된 업무 프로세스가 성과 및 .. 2020. 9. 18. 인사관리의 새로운 Tool, ‘HR 프랙티스’를 소개합니다 왜 ‘HR 프랙티스’인가요 “HR을 실행하는 입장에서는 실무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자료가 필요한 것 아닌가요?” HR 직무의 특성 Human Resource Management의 결과물은 주로 문서로 완성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품의나 보고서, 규정이나 매뉴얼, 프로세스나 액션플랜, 데이터 시트나 그래프, 양식과 리스트 등 많은 종류의 내용을 담은 문서를 작성하고 관리합니다. 요즈음은 많은 부분들이 DB와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만 새로운 제도 등을 기획하고 추진하는 일은 문서에 들어갈 내용이 필요합니다. 또한 근로계약서, 사유서, 사직서, 동의서, 합의서 등 운영에 필요한 양식들이 필요합니다. 인사관리 업무의 특징 중 하나는 규정이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법적 의무사항인 취업규칙부터 여러 가지 인.. 2020. 7. 28. 이전 1 다음